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65

시간복잡도 Time Complexity ✅ 알고리즘 문제 해결 방법문제 상황: 공 5개를 오름차순 정렬해결 방법:1. 가장 작은 숫자를 찾아서 맨 앞에 놓는다2. 남은 공들에 대해서 1 방법을 반복함52431 -> 12345 이때 저 노란색 밑줄이 쳐진 해결 방법 부분이 알고리즘이다. 근데 여기서 저 공의 개수가 상당히 많다면, 저 알고리즘으로 문제를 해결했을 때, 실행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서 사용할 수 없을 수도 있지 않을까? 그래서 알고리즘을 고안할 때는 실행시간을 미리 계산할 수 있어야 함. 그것을 = Running timeint num1 = 57; #2nsint num2 = 50; #2nsint sum = num1 + num2;#3nsprint(sum); #27ns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컴퓨터의 CPU가 코드를 한 줄 한 줄 처리하게 됨.. 2025. 5. 28.
Terraform Terraform의 핵심 개념테라폼의 특징 - 클라우드 인프라 프로비저닝 및 관리에 특화된 도구- 클라우드 인프라를 프로비저닝 하는 것- 예를 들어 vpc 생성부터 eks 클러스터 생성, helm을 통한 애드온 설치, ALB 생성 및 매니페스트 apply, acm생성 및 연동, route 53을 통해 배포IaC인프라를 코드로 관리, 사람마다 손으로 만드는 게 아니라 코드를 공유해서 정확하게 똑같이 만들 수 있음.ProviderAWS, Azure, GCP 등 어디에 만들 건지 정해주는 플러그인 같은 거, 우리는 주로 AWS Provider를 사용.Resource실제로 만들고 싶은 AWS 리소스 (예: EC2, S3, RDS 등)를 코드로 정의함..tf 파일Terraform 코드 파일 확장자예요. 여기에 어.. 2025. 5. 28.
자료구조와 메모리 구조 이해하기 1.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자료구조라고 함자료구조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빠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줌 예를 들어 보자면 변수가 많다면 하나하나 저장하기가 힘드니까, 비슷한 성질의 데이터를 모아서 array자료 구조 같은 걸 사용해서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우리가 앞으로 배울 자료구조들은 아래 구조를 보면 알 수 있음. 메모리에는 크게 하드디스크와 램 메모리가 있음우리가 코딩을 하고 저장 버튼을 누르면 코드들이 하드디스크에 저장이 됨저장된 코드를 실행하면 램 메모리에 데이터가 올라가게 됨 우리의 관심사는 램 메모리에 있는데 만약에 우리가 비효율적인 자료 구조를 사용하면 .. 2025. 5. 17.
docker desktop 설치 후 VMware Workstation unrecoverable error: (vcpu-3) VMware Workstation unrecoverable error: (vcpu-3) Exception 0xc0000005 (access violation) has occurred. A log file is available in "C:\VM\awscli\vmware.log". You can request support. To collect data to submit to VMware support, choose "Collect Support Data" from the Help menu. You can also run the "vm-support" script in the Workstation folder directly. We will respond on the basis of your support.. 2025. 5. 12.
[CI/CD] EKS 환경에서 동적 프로비저닝/ EBS/ EFS/ NFS/ EKS 📌 EBS (Elastic Block Store)✅ EBS(Block) - 하드웨어(디스크)->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방식임. 하드 드라이브와 비슷한 개념-> EC2 인스턴스와 함께 사용되며, EC2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됨-> 단일 EC2 인스턴스에 연결(attach)돼서 동작하고, 데이터베이스, 로그 파일 등을 저장하는 데 적합함-> 파일 시스템이 구성이 안되어있음특정 노드(attach 된)에 존재하는 pod만 접근 가능함 주요 특징:지속적 저장: EC2가 종료돼도 데이터가 유지됨.성능 최적화: IOPS, 처리량, 지연 시간을 설정하여 성능을 조정할 수 있어.확장성: 스냅샷을 통해 데이터 백업 및 복원 가능.📌 EFS (Elastic .. 2025. 5. 12.
[CI/CD] Github-action을 통한 CI/CD 🔧 CI/CD가 뭐야?CI (지속적 통합, Continuous Integration)→ 개발자가 코드를 푸시(push)할 때마다 자동으로 테스트하거나 빌드하는 것.어떤 테스트? 코드가 잘 작동하는지 자동으로 검증하는 것어떤 빌드? 소스 코드를 실제 실행 가능한 파일로 변환하는 것즉, 코드가 정상 동작한다고 확인CD (지속적 배포, Continuous Deployment)→ 코드가 문제 없다면 자동으로 서버나 클라우드에 배포하는 것.예를 들어 깃허브 액션을 사용해서 문제가 없다면 웹페이지에 실제 서비스에 반영되는 것을 배포라고 함즉, 확인된 코드를 웹서버, 클라우드, AWS EC2 등에 자동 반영하는 것을 말함즉, 코드를 바꾸면 -> 자동으로 테스트하고 -> 자동으로 서버에 반영되는 시스템🔗 GitHu.. 2025. 5.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