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15

페이징 기법 페이징 기법의 주소 변환 과정 페이징 기법은 고정 분할 방식을 이용한 가상 메모리 관리 기법으로, 물리 주소 공간을 같은 크기로 나누어 사용한다. VA= -> PA=로 변환될 때 페이지 테이블을 사용하여 P는 F로 바꾸고 D는 변경 없이 그대로 쓴다. D를 변경하지 않은 이유는 페이지와 프레임의 크기를 똑같이 나누었기 때문이다. 16bit CPU의 주소 변환 예 한 페이지를 10B로 나누면 주소 변환 과정은 그리 어렵지 않다. 예를 들면 가상 주소 30번은 VA = 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컴퓨터는 2진법을 사용하므로 한 페이지의 크기는 2의 지수승으로 페이지의 크기가 다양할 경우 가상 주소를 로 변환하는 공식이다. P = 나눗셈(가상 주소/ 한 페이지의 크기)의 몫 D = 나눗셈(가상 주소.. 2023. 11. 14.
영역 처리의 개념 영역 처리 - 픽셀이 아닌 공간 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 기법 - 입력 이미지(f)의 특정 픽셀값으로부터 결과 이미지(g)의 특정 필셀값을 결정할 때, 이웃의 픽셀값들(neighbors)도 함께 고려하여 공간 영역 연산 - 특정 위치 픽셀값: f(x, y) - 특정 위치 주변의 이웃 픽셀들의 값: f(x-1, y-1), f(x, y-1), f(x-1, y),... - 컨볼루션 기법(convolution technique)으로 수행 - 공간 도메인 필터링을 컴볼루션 처리(convolution processing = *이라고 표시, CNN or CV라고 함), 회선 처리라고 함 영역 처리의 종류 - 엠보싱 - 블러링 - 샤프닝 - 경계선 검출 - 잡음 제거 영역 처리 - 공간 자기 상관(spatial auto.. 2023. 11. 13.
히스토그램 명세화 히스토그램 명세화 - 특정 모양의 히스토그램을 생성된 이미지의 히스토그램에 포함하여 이미지의 일부 영역의 명암 대비를 개선하는 이미지처리 기법 - 히스토그램 정합(Histogram Matching) 기법: 입력 이미지(A)의 히스토그램을 원하는 이미지의 히스토그램(B)으로 변환 - 명암 대비를 개선하는 것은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같음 - 단, 특정 부분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하는 히스토그램 일부 영역에서만 명암 대비를 개선 - 동작 방식 기본적으로 입력 이미지를 원하는 히스토그램으로 평활화하고 역 히스토그램 평활화 수행 -> 룩업 테이블(look up table)을 생성 -> 평활화된 원 이미지를 역 변환 -> 결과적으로 원하는 히스토그램을 얻음 1단계: 원 이미지에 대한 히스토그램 평활화 수행 freq 는.. 2023. 11. 13.
가상 메모리 컴퓨터마다 물리 메모리, 즉 실제 메모리의 크기가 다르다.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는 크기가 다른 물리 메모리에서 일관되게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가상 메모리 시스템 현대 메모리 관리의 가장 큰 특징은 물리 메모리의 크기와 프로세스가 올라갈 때 메모리의 위치를 신경 쓰지 않고 프로그래밍하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가상 메모리라고 부른다. 가상 메모리의 크기와 주소 이론적으로 가상 메모리의 크기는 무한대다. 그러나 실제로 가상 메모리의 최대 크기는 컴퓨터 시스템이 가진 물리 메모리의 최대 크기로 한정되며, CPU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가상 메모리는 어떻게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물리 메모리의 크기를 넘어서 무한대로 메모리를 사용하게 할까? .. 2023. 11. 9.
단일 프로그래밍 환경의 메모리 할당 메모리 오버레이 실제 메모리보다 큰 프로그램을 작동하게 하려면 프로그램의 크기가 실제메모리(물리 메모리) 보다 클 때 전체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가져오는 대신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가져오는 기법을 메모리 오버레이(memory overlay) 라고 한다. overlay는 '겹겹이 쌓다', '중첩시키다'라는 뜻으로, 메모리 오버레이는 하나의 메모리에 여러 프로그램을 겹겹이 쌓아놓고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한정된 메모리에서 메모리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전체가 아니라 일부만 메모리에 올라와도 실행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개념적으로 한 덩어리지만 일부분만으로도 실행할 수 있다. 스왑 메모리에 모듈B를 가져올 때 먼저 메모리에 올라온 모듈 A를 어딘가에 보관해야 한다. 쉽게 .. 2023. 11. 8.
메모리 관리의 개요 폰 노이만 구조에서 메모리는 유일한 작업 공간이며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할 수 있다. 모든 프로그램은 하드디스크나 SSD와 같은 보조 저장장치에 보관되어 있다. 메모리 이해하기 메모리 구조는 1바이트(B) 크기로 나뉜다. 1B로 나뉜 각 영역은 주소 address로 구분되는데 0번지부터 시작한다. CPU는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작업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주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24번지의 데이터를 CPU로 가져오거나 CPU안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메모리의 39번지에 저장한다. 주소는 CPU와 메모리 간 작업의 기준이 된다. 메모리 관리의 이중성 메모리 관리는 운영체제를 비롯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때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관한 문제다. 이처럼 복.. 2023. 11.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