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ns2 VM 8 + DNS + DB + WP 실습(코드만) 실습 문제외부 통신에 필요한 정보(디폴트루트, IP)를 받아올 수 있음. DNS, DB, WP의 각각의 서버를 만들어서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도록 구성해야 됨 결론적으로 영문주소로 접속해야 하고, 최종적으로 제3의 노트북은 WP의 IP에 브라우저로 접속했을 때 wordpress 화면이 보여야 됨 실습 풀이✅GNS3 설정더보기DNS -> DB -> WP 순으로 진행해야 됨 R1(config-if)#int f0/0R1(config-if)#ip add 10.10.1.50 255.255.255.0R1(config-if)#no sh R1(config-if)#in nat in R1(config-if)#int f0/1R1(config-if)#ip add 10.10.2.55 255.255.255.0R1(config-if.. 2025. 2. 3. DNS/ 호스트네임 변경하는 방법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임- 우리가 www.google.com 같은 도메인을 입력하면, DNS가 알아서 "8.8.8.8" 같은 IP 주소로 변환해서 서버에 연결해 줌 - 통신을 한다는 것은 물리적인 주소가 필요함- 영문주소에 대한 ip를 "안내" 해주는 시스템- 53 port, tcp + udp 둘 다 사용-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 내려가지만, 도메인 네임의 경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어 내려감- 즉, 오른쪽으로 갈수록 큰 개념 - DNS가 왜 필요할까?-> IP주소를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이름으로 안내해 줌-> IP주소가 변경될 수도 있음 -> 여러 개의 서버를 하나의 도메인으로 관리 가능 www는 naver.com의 '하위'.. 2025. 1. 22. 이전 1 다음 728x90